클래스란? 드디어 클래스에 대해서 다루게 되었군요. 클래스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와 행동을 정의하는 설계도입니다. C언어를 배우신 분들이라면 배열 다음에 구조체라는 것을 배우게 되죠. 배열은 같은 자료형 여러개의 묶음이라면 구조체는 여러 자료형을 묶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또한 구조체처럼 여러 자료형을 담아서 사용할 수 있고, (상태) 거기에 메서드(행동)까지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필드(멤버 변수) 필드는 해당 클래스의 속성을 나타냅니다. Student 클래스라면 학과 정보, 학번, 이름등이 필드에 넣을 수 있겠죠. 필드에서도 static을 붙이는 경우에는 클래스 변수라고 부르고 일반적인 변수는 인스턴스 변수라고 부릅니다. 2021.03.10 - [Java] - [java] 변수 [java..
과제 2. LinkedList를 구현하세요. LinkedList에 대해 공부하세요. 정수를 저장하는 ListNode 클래스를 구현하세요. ListNode add(ListNode head, ListNode nodeToAdd, int position)를 구현하세요. ListNode remove(ListNode head, int positionToRemove)를 구현하세요. boolean contains(ListNode head, ListNode nodeTocheck)를 구현하세요. 과제 3. Stack을 구현하세요. int 배열을 사용해서 정수를 저장하는 Stack을 구현하세요. void push(int data)를 구현하세요. int pop()을 구현하세요. 과제 4. 앞서 만든 ListNode를 사용해서..
Github API를 이용해서 참여자들의 참여율을 계산하는 과제였습니다. 과제 요구사항을 그대로 가져와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github.com/whiteship/live-study/issues/4 4주차 과제: 제어문 · Issue #4 · whiteship/live-study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제어문을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필수) 선택문 반복문 과제 (옵션) 과제 0. JUnit 5 학습하세요. 인텔리J, 이클립스, VS Code에서 JUnit 5로 테스트 코드 작성하는 방법에 익숙해 github.com 과제 1. live-study 대시 보드를 만드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깃헙 이슈 1번부터 18번까지 댓글을 순회하며 댓글을 남긴 사용자를 체크 할 것. 참여율을 계산하세요. 총 18회에 중..
Gradle 프로젝트 의존관계를 추가해줄때 implementation으로도 추가가 가능하고 compile로도 추가가 가능합니다. 자꾸 혼용해서 쓰다보니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한 줄 요약 implementation > compile compile은 왜 사라졌는가? 최신 버전 Gradle 공식 문서에서는 compile 옵션에 대해서 언급조차 하지 않습니다. 과거 문서를 찾아본 결과를 토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A
JUnit 5를 이용한 테스트 코드 작성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JUnit 5는 자바 8 버전 이상부터 지원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 자바 버전을 확인하고 따라와 주셨으면 합니다. 참고로 해당 포스팅은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강의에서 사용하는 예제로 설명합니다. Spring project Spring project를 spring.io에서 직접 만드는 경우 JUnit 5와 관련한 dependency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저도 자동으로 설정된 버전을 사용하기에 추가 방법을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테스트 코드란? 그동안 작성한 코드가 제대로 돌아가는지 검증하기 위해 작성하는 코드들을 테스트 코드라고 부릅니다. 자 클라이언트가 회원 서비스를 통해서 회원 가입을 하면 저장소로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을 구현..
오늘은 제어문의 나머지 파트에 대해서도 다뤄보겠습니다. 제어문의 경우 자바나 C언어나 큰 차이가 없으니 기존에 다른 언어를 익혀두신 분이라면 스무스하게 넘어갈 수 있습니다. 반복문의 경우 동일한 작업을 반복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ello World라는 문장을 100번 출력해야 한다면, 단순하게 출력문을 100번 복사 붙여 넣기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만.. 코드도 쓸데없이 길어지므로 비효율적입니다. 이럴 때 반복문을 알고 있다면 손쉽게 100번 출력이 가능해집니다. 반복문들을 먼저 다뤄보겠습니다. for문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수행될 명령들 } for문은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그리고 수행되야할 명령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총 10번 무엇인가를 출력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이..
자바의 제어문에는 조건문, 반복문 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건문에 대해서만 정리해보겠습니다. if문 if.. 영단어를 생각해주세요. 만약 ~한다면의 의미를 품고 있는 단어입니다. 자바 및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if문은 만약 조건이 충족한다면 함수 블록 내의 명령을 수행하라!로 사용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if(조건1) { } else if(조건2) { } else { } cs 만약 조건1이 true라면 if문 블록 내의 명령이 실행이 될 것이고, 조건1은 false인 반면 조건2가 충족될 경우에는 if문 블록은 스킵되며 else if문이 실행됩니다. 조건1가 조건2가 모두 false가 된 경우 else문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조건에는 저번 시간에 다룬 연산..
백기선님의 자바 라이브 스터디 3주 차 토픽을 가져왔습니다.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를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산술 연산자 비트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instanceof assignment(=) operator 화살표(->) 연산자 3항 연산자 연산자 우선 순위 (optional) Java 13. switch 연산자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가 무엇일까요?? 산술(算術, 영어: arithmetic)은 수학의 가장 역사 깊은 분야로, 수의 개념이나 수에 대하여 간단한 계산을 하는 방법, 그 성질이나 계산의 법칙 등의 이론적인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다. (출처 : 위키백과) 위키에 따르면 산술이라는 용어를 '수에 대해 계산을 하는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사칙 연산..